설치 미술의 의미
전시 공간에 맞추어 작품을 설치합니다. 설치 미술은 회화나 조각처럼 이미 완서된 작품을 위주로 전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 공간에 맞추어 작품을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시 공간 자체가 아니라, 전시 공간에 맞추어 작품을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전시 공간 자체가 하나의 작품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치 미술은 설치되는 장소가 작품 자체 못지 않게 중요합니다. 만약 똑같은 나비를 학교 복도에 설치하는 것과 내 방에 설치하면 이 둘은 복도와 방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치됩니다. 이렇게 똑같이 만들어도 전시되는 공간에 따라서 다른 작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설치 미술은 1900년대에 시작된 미술로, 기존 미술을 거부하고 개념을 파괴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대표적 설치 미술의 하나인 뒤샹의 작품의 <샘>은 화장실 변기를 전시장 가운데에 설치한 작품입니다.
설치 미술은 대부분 일정 기간 동안 전시된 후에는 사진 등으로 기록만 남기고 모두 철거됩니다. 사진 작품이 제작되는 순간부터 서서히 변형되어 해체되는 과정을 사진으로 남겨두는데, 이 모든 기록들까지도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진이나 글은 작업과 환경 그대로를 담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설치미술은 일회성이 강합니다.
설치 미술의 특징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으로 작품을 감상합니다. 설치 미술은 눈으로 보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눈, 코, 입, 귀를 통해서 관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백남준의 <다다익선>을 감싸는 나선형 복도의 벽에 탑처럼 생긴 작품 <삼라만상>을 보고 관객은 점점 위로 올라가 마치 산을 올라가는 느낌을 갖게 됩니다. 또한 곳곳에 음향이 설치되어 물, 바람, 새, 풍경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설치 미술에서 관ㄹ마자는 단순히 보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설치 미술 안의 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미국 작가 앤 해밀턴은 구리, 동물의 털가죽, 동전 등을 전시장 바닥에 뒤덮었습니다. 이렇게 그녀의 작품을 체험할 때 직접적이고 신체적인 감각을 매우 중요시합니다. 그녀의 작업은 벽과 천장을 조금씩 변경시키기는 하지만, 건물 또는 장소의 구조와 조화를 이룹니다. 또 누군가 책상 앞에 앉아 종이를 태우거나 무언가를 꿰매고, 지우고 씹는 행위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관람자들이 작품에 직접 참여하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한 하나의 장치입니다.
설치 미술은 의외로 우리 생활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설치 미술은 건물안에 전시관인 실내 전시관은 물론 돌 위, 건물의 옥상, 청계천 등 곳곳이 설치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강, 바다, 하늘 등 무한한 자연환경의 영역을 이용한 설치 미술도 있습니다. 이렇듯 설치 미술의 전시는 어느 곳에서든 가능합니다.
미술가의 표현의 자유와 공적 책임
리처드 세라의 <기울어직 호>라는 작품은 미국 뉴욕 맨해든 도심 빌딩 앞 광장에 3.6미터의 높이와 길이 36미터에 달하는 강철판으로 제작되어 담처럼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시민들에게 환영받지 못했습니다. 넓은 광장 한가운데를 건축 자재처럼 보이는 철판이 가로막아서, 보행에도 방해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시민들은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 때문에 다른 곳으로 옮기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나 작가는 연방 광장의 특성과 위치를 고려해 만들어진 작품이기 때문에 옮기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시민의 요구가 법정 소송까지 이어져서 결국 작품은 철거되었고, 공간적 특성을 고려해 제작한 작품이라 다른 곳으로 이동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 작가는 작품을 그만 폐기하고 말았습니다.
대지미술가 크리스토와 잔느 클로드
생존한 대지미술 작가로 가장 유명한 크리스토와 잔느 클로드 부부작가는 파리 퐁뇌프 다리를 천으로 감싼다든지, 미국 플로리다주의 작은 섬들 주변을 분홍색 천으로 감싸는 설치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대지미술은 익숙한 공간을 낯설은 공간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예술 속에 담겨진 자연, 자연 속에 담겨진 예술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예술이다.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목적을 추구하지 않고 순수한 에술의 아름다움을 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내 손안의 미술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채화 기법, 종이에 색상을 칠하는 기본 방법 (0) | 2022.12.29 |
---|---|
서양화, 서양에서 발생하여 발달한 그림 (0) | 2022.12.28 |
박물관과 미술관 (0) | 2022.12.26 |
미술 전시 (0) | 2022.12.25 |
전통 미술의 감상 (0) | 2022.12.24 |
댓글